연말정산 세액공제 ETF를 할 수 있는 국내 운용사 (KODEX, TIGER 등) ETF는 미국 주식 ETF (미국 인덱스 펀드)보다는 배당금이나 장기 안정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불안한 요인이 있지만,,
아무래도 연말정산 세액공제라는 타이틀이 있기 때문에 50세 이후에 은퇴 준비로 연금 생활을 계획하는 분이라면 필수로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단 하나죠. 바로 연말정산 세액공제로 최소 13.2%의 연 복리 혜택!!
한달에 10만원씩 연 120만원을 납부했다면, 최소 13.2%인 15.8만원 ~ 16.5%인 19.8만원을 세액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다시 연말정산에 재투자한다면,, 다음 년도에는 한 달에 10만원씩 120만원과 15.8만원을 더해서 135.8만원을 납부하게 되고,, 여기에 13.2%인 17.9만원을 돌려받게 되죠..
이런 식으로 연 복리혜택을 누리면,, 매년 수익률 13.2%는 최소한 보장된다는 의미!!
이런 연금저축 ETF를 위해서라도 ETF는 투자를 안 할 수 없겠죠??
지난 포스팅에서 ETF의 기본 용어, 상품명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했었는데요,,
상품을 알아보는 방법을 공부했다면,, 이제는 종목을 선택하기에 앞서 접해볼 수 있는 용어 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ETF 상품명은 아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지난 시간 포스팅 관련)
1. 운용 회사, 2. 투자 대상, 3. 투자 방식
저는 개인연금 ETF는 국내 주식 ETF, 미국 주식 ETF 2종 정도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미국 주식은 헷지(H) 옵션을 하려고 하는데요~
KODEX 미국FANG플러스(H)
이 상품의 경우,,
1. 운용회사 : KODEX (삼성자산운용)
2. 미국 주식 FANG과 관련한 종목에 투자
3. 환율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내/장외 파생상품을 통한 환헷지 (H) 전략을 사용합니다.
그럼 행당 상품을 들어가서 알아볼까요??
이 상품의 가격은 2만원 중반에서 흐르고 있네요~
최고 3만원 초반까지도 갔었습니다... (3년 전 9천원 대비 3배 가까이 올랐네요...ㄷㄷ 역시 기술주!!)
자산 구성은 역시 FANG (FB, AMZN, NFLX,GOOGL/AAPL) 위주로 되어있고, MSFT, NVDA 등도 같이 들어있네요~
그리고, 바로 아래에 나오는 테이블에 NAV, 괴리율, 추적오차율 등 다소 생소한 용어가 나옵니다.
구성 종목 바로 아래에 나오는 만큼,, ETF에 있어 중요한 내용이라고 짐작이 가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NAV (Net Asset Value, 순자산 가치)
: ETF가 편입 중인 주식, 현금, 배당, 이자소득 등의 총합의 가치를 주식 수로 나는 것
(순자산과는 다른 의미임)
: iNAV (indicate NAV)는 실시간 보이는 순자산 가치로 당일 거래 시간 동안 보여지는 수치
(즉, NAV는 정확하게 말하자면,, 전일 순자산 가치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괴리율 (Price Deviation)
: 실시간으로 거래되는 주가와 ETF 순자산 가치 (NAV)의 차이
추적오차 (Tracking Error)
: ETF가 기초지수를 쫓아가지 못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반대로 추적오차가 적을수록 좋음)
: 100%에서 추적오차를 뺀 나머지 수치가 지수에 대한 변동성에 대한 일치율로 해석할 수 있음
구성종목 (Potfolio Deposit File, PDF)
: ETF가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구성과 비중을 나타낸 목록
보수율 (총보수, Total Expense Ratio, TER)
: ETF를 운용하면서 운용회사가 가져가는 수수료의 비율, 운용 수수료와는 다름.
(표현하는 곳마다 다르게 표현되어, 총보수인지 운용수수료인지 주의가 필요함.
정확한 보수율은 "금융투자협회"에서 확인 가능)
순 유입액 (Net Flow)
: 유입액과 유출액의 합 (매수금 - 매도금 = 순 유입액)
샤프지수 (Sharp Ratio)
: 특정 펀드가 위험자산에 투자하여 얻은 초과 수익의 정도
샤프지수 1.0 이상이면 목적에 맞도록 운영되는 펀드라고 할 수 있음
시장가격
: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가격 (주식과 동일하며, 현재가라고 생각하면 됨)
선물 (선매매 후물건)
: 미래의 상품을 미리 거래한다는 뜻으로, 상품의 가격, 수량, 종목 등의 거래 조건을 미리 결정하고, 향후에 상품을 전달 및 대금 결재가 진행되는 방식
인버스와 레버리지
: 단어 그대로 인버스는 "반대의, 정반대", 레버지리는 "영향력, 지렛대의 힘"이라는 의미로,,
시장 지수의 역방향/정방향에 배팅되는지에 대한 상품.
시장 지수 몇 배 (x2, x3)만큼 변동되는 상품이 있음.
예, 지수가 떨어지면 인버스 ETF는 수익이 나는 구조 (선택한 상품에 따라서 2배, 3배 오를 수 있음)
* 높을수록 좋은 것 : 순자산, 거래량, 수익률, 분배금 (배당금)
* 낮을수록 좋은 것 : 괴리율, 추적오차, 보수율 (총보수)
쓰다 보니 길어져서 ETF 투자 시 주의할 점은 다음에 포스팅을 해야겠습니다.....ㅜㅜ
[ 함께 보면 좋은 글 ]
[ 미국 주식 ETF ] 일반 주식보다 ETF가 좋은 이유
미국 시가 총액 상위 Top-10은 시가총액만 $12,217B으로 1경 4,660조원에 해당합니다. 미국 시가 총액 상위 top-4로 축소해서 보더라도 $8,370B (1경원 정도)가 되는데요,, 미국도 빈부 격차가 심하네요~ 미
minddoor83.tistory.com
[50세 은퇴 준비 1탄] 재무 점검 - 연금 5층, 월 340만원 수령 세팅 완료!!
50세 이후 은퇴 준비를 위해서 제2의 인생을 알아보았고,, 연금저축과 IRP에 대한 study와 배분 전략을 세워봤습니다. 이제 은퇴 준비를 잘 하고 있는지? 부족한 것은 없는지...? 점검하고, 세팅을 해
minddoor83.tistory.com
[미국 배당 ETF ] 20년 이상 배당 증가 ETF로 든든한 연금 준비
미국 주식 배당 월세 받기 프로젝트.. 너무나도 꿈같은 일인데, 월급 (200만원 이상)은 아니라도,, 월세 (30~50만원) 정도는 꿈꿀 수 있지 않을까요? 지난 포스팅에서도 살펴봤듯이,, 적은 금액으로
minddoor83.tistory.com
연금 저축 펀드 vs IRP (개인 퇴직 연금) 비교와 전략
증권사 개인연금 계좌에 가입을 하고, 한도 변경을 했으니 이제 개인연금 저축을 어떻게 나눌지 계획/전략을 세워야겠습니다.. 저는 소소하지만,, IRP만 했었는데요.. 이제는 나눠서 불입을 하려
minddoor83.tistory.com
[ ETF 기본편 ] 연금 저축 ETF 시작을 위한 핵심 정리 (상품명 분석방법, 용어)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위한 개인연금 ETF는 미국 주식은 매수를 할 수 없는데요,, 국내 운용사 중에서 해외 상장 지수를 따라가는 ETF는 매수가 가능합니다. 일전에 저는 연금저축과 IRP의 차이점과
minddoor83.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국 주식 ETF ] 안정과 성장을 동시에 미국 시총 상위 종목으로 구성된 ETF (0) | 2022.03.24 |
---|---|
[ ETF 심화편 ] IRP 대신 ETF에 투자 시 주의할 점 (+ 연금 저축 ETF 장점) (0) | 2022.03.23 |
[ ETF 기본편 ] 연금 저축 ETF 시작을 위한 핵심 정리 (상품명 분석방법, 용어) (0) | 2022.03.22 |
[미국 배당 성장 ETF] 5년 이상 배당, AAPL/MSFT가 포진 된 ETF (DGRO)로 연금 준비 (0) | 2022.03.21 |
[미국 배당 성장 ETF ] 20년 이상 배당 증가 ETF로 든든한 연금 준비 (0) | 2022.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