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2년 대한민국 재계 순위 (vs. 21년 비교) - 대한민국 대기업 순위

by 제이(J) 2022. 9.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이입니다~~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해마다 5월에 발표하는 대기업 진단 결과를 오늘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발표된 지 4개월이 지났음에도 포스팅하는 이유는, 최근 제 블로그에 21년에 포스팅했던 재계 순위 찾아오시는 분들이 계셔서 22년 내용을 업데이트하고자 올려요..

올해 5월 초부터 현재까지 저는 아주 바쁜 날들을 보내느라고,, 회사 일 외에는 아무것도 신경을 쓰지 못했습니다.

그 사이 어김없이 재계 순위는 발표가 되었군요...

인터 브랜드의 기업 가치 순위는 아직 발표가 되지 않은 것 같던데,,,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되는 재계 순위, 대기업 순위의 공식적인 명칭은 "공시대상 기업집단 지정 현황"입니다.

해마다 5월 초에 발표되고, 대기업으로 지정이 신규로 되는 기업과 예외 되는 기업, 가파른 성장을 하고 있는 기업 등 다양한 정보를 함께 보도합니다.

공정거래위원회 대기업 진단 보도 자료를 잘 살펴보면 유익한 정보들도 많아요~

 

22년 재계 순위에는 다소 변동이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부동의 1위는 역시 삼성이었습니다..

 

공정 겨래 위원회 22년 재계 순위 보도 자료에도 명시되어 있는데요,,

가장 핫 이슈는 2010년 이후 12년 만에 처음으로 재계 5위의 순위가 바뀌었다는 것인데요,,

에스케이 (SK)가 재계 순위 2위를 차지했다는 것입니다.

그동안 부동의 현대자동차가 3위로 내려앉으면서 에스케이에 밀리는 수모를 겪었는데요~

 

재계 순위 2위 에스케이(SK)는 반도체, 물적 분할에 따른 신규 설립, 석유 사업 성장으로 최초 2위를 차지했다고 보도되어있습니다.

작년부터 반도체는 정말 10년 사이클의 정점을 찍었죠..

거기에 신규 상장된 에스케이 바이오팜, 바이오사이언스와 최근 달러 환율 상승으로 수혜를 보고 있는 석유 사업..

그간 투자한 것에 대한 성과네요...

 

 

눈에 띄는 것은 2020년부터 3년간 재계 순위 10위권은 바뀌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좀 더 살펴보면,, 14위까지가 안 바뀌고, 15위를 두산에서 카카오로 바뀌었네요...

대한민국 재계 10위는 정말 탄탄하군요~ 역시 10대 기업~ 10대 기업~ 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각각 15위와 22위에 랭크했는데요,,

현재는 카카오와 네이버 주가가 많이 떨어져서 순위가 바뀌었을 수도 있지만,,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한민국 대기업 30위는 순위 변동이 크지 않은데,, 그 안에서 계속 상승하고 있으니까요,,

 

카카오는 20년 23위 → 21년 18위 (5계단 상승) → 22년 15위 (3계단 상승) 하고 있고,

네이버는 20년 41위 → 21년 27위 (14계단 상승) → 22년 22위 (5계단 상승)하고 있습니다.

단일 주가로는 네이버가 카카오보다 위인데,, (네이버 9위, 카카오 11위)

대기업 순위로는 카카오가 네이버보다 위에 있다니,, 조금 놀랍습니다~

 

신규로는 투자회사 두나무가 진입했고요,

게임회사 크래프톤, 보성, KG, 일진, 오케이 금융그룹, 신영, 농심 (총 7개 기업)이 함께 진입했다고 하네요~

 

공정거래위원회 대기업 진단 (대기업 순위, 재계 순위)를 좀 더 살펴보면요,,,

22년 대기업으로 지정된 기업은 76개라고 합니다. 소속회사, 즉 계열사 / 자회사는 총 2,886개라고 하는데요,,

대기업 76개면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닌 듯 하죠?

 

자산이 10조 이상인 기업은 47개 (소속회사 2,108개)인데, 지난해보다 7개 증가했다고 합니다..

 

신규로 진입한 기업들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해운, 건설, 정보기술(IT) 주력 집단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네요~

아마도,,, 23년 대기업 순위에는 원자력과 방산(우주/항공)을 주력으로 하는 회사가 크게 성장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전망해봅니다.

 

출처 : 공정거래위원회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 보도자료

 

대기업을 알고, 정치를 알면 주가 전망을 할 수 있고,, 부자가 될 수 있다....(?)

저는 정치를 모르기도 하고, 알고 싶지도 않아서,,,, 부자가 되기는 글렀네요...ㅋㅋㅋ

 

공정거래 위원회에서 보도된 대기업 지정 76개 집단 외에도 모든 기업들이 잘돼서 우리나가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고,

살기 좋은 대한민국이 되면 좋겠습니다~~!!!

 

 

[ 함께 보시면 좋은 글 ]

 

 

21년 국내 재계순위 (공정거래위원회 대기업 지정 진단 결과)

작년 주식 시장은 정말 뜨거웠습니다. 올해는.... 2월부터 코로나의 장기 유행(?) 탓인지.. 정부x들이 대출이자를 늘려서 빚투와 여유자금이 줄어든 탓인지 모르겠지만,, 작년만큼 좋지는 않네요~

minddoor83.tistory.com

 

인터브랜드) 글로벌 100대 브랜드 순위

인터브랜드 21년 브랜드 가치 순위 (Best Global Brand) 인터브랜드(Interbrand)에서 공개한 브랜드 가치 순위 (Best Grobal Brand)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100대 기업의 순위와 전년도 比 성장, 기업의.

minddoor83.tistory.com

 

[50세 은퇴 준비 1탄] 재무 점검 - 연금 5층, 월 340만원 수령 세팅 완료!!

50세 이후 은퇴 준비를 위해서 제2의 인생을 알아보았고,, 연금저축과 IRP에 대한 study와 배분 전략을 세워봤습니다. 이제 은퇴 준비를 잘 하고 있는지? 부족한 것은 없는지...? 점검하고, 세팅을 해

minddoor83.tistory.com

 

연금 저축 펀드 vs IRP (개인 퇴직 연금) 비교와 전략

증권사 개인연금 계좌에 가입을 하고, 한도 변경을 했으니 이제 개인연금 저축을 어떻게 나눌지 계획/전략을 세워야겠습니다.. 저는 소소하지만,, IRP만 했었는데요.. 이제는 나눠서 불입을 하려

minddoor83.tistory.com

 

미국 주식 배당금으로 월세/월급 받기 가능?? 6가지로 요약 완료!!

저는 50세 이후 은퇴 생활을 점검하고 준비하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앞에서 몇 차례 기술한 바와 같이 파이어족은 안될 것 같아요....ㅋㅋㅋㅋ * 파이어족 : 경제적 자립을 통해 빠른 시기

minddoor83.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