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이입니다~~
얼마 전 국내총생산을 뜻하는 GDP와 국민총생산을 뜻하는 GNP를 알아봤습니다.
GDP는 국내에서 자국민과 외국인이 벌어들인 소득이고,
GNP는 자국민이 국내와 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인데요,,
경제 지표의 대표적인 GDP는 국가의 경제 성장을 비교하기는 쉽지만,,
개개인의 소득 수준을 알기에는 부족하다고 합니다.
그 나라의 생활 수준을 알기 위해서는 오늘 알아볼 국민총소득 (GNI)가 더 유용하다고 하네요~
대표적인 경제성장 지표가 국내총생산(GDP)이라면 국민소득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나온 경제지표가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 GNI)이다.
국민총소득(GNI)은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 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로서 이 지표에는 자국민(거주자)이 국외로부터 받은 소득(국외수취요소소득)은 포함되는 반면 국내총생산 중에서 외국인(비거주자)에게 지급한 소득(국외지급요소소득)은 제외된다.
국내총생산(GDP)은 한 나라의 경제규모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나,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알아보는 데는 적합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국민들의 생활수준은 전체 국민소득의 크기보다는 1인당 국민소득의 크기와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1인당 GNI이다.
1인당 GNI는 명목 GNI를 한 나라의 인구수로 나누어 구하며 국제비교를 위하여 보통 시장환율로 환산하여 미달러($)화로 표시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1인당 GNI (통계용어 · 지표의 이해, 2015. 4.)
전 세계 국민총소득 (GNI)는 GDP에 무역수지를 감안한 수치로,, 중국이 1위를 랭크했습니다.
네*버에서 검색했는데,, 미국이 없다는 것이 좀 이상한데요~
제가 이 분야 전문가는 아니라서,,, 주어진 정보를 가지고 학습한 것을 기록하는 것이라.. 좀 부족해도 이해해 주세요...ㅜㅜ
미국이 왜 없는지는 좀 더 알아봐야 하겠지만,,,
중국이 1위, 독일이 2위입니다.
인도까지 GDP가 3위를 랭크하며 2조 달러를 넘겼습니다..
대한민국은 4위 이탈리아를 이어 5위를 차지했는데요,,
사실,,, GDP든, GNP든, GNI든,,,
국가 별 순위보다는 1인당 GNP, 1인당 GNI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아무리 적게 벌더라도 인구수가 많으면,, 그 나라의 GNP, GNI는 높아질 수밖에 없잖아요~~
그래서 인구수를 감안한 1인당 지표로 비교를 해야 좀 더 정확한 경제 지표가 될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의 1인당 GNI (국민총소득)은 3만 1,880달러로,, 약 4천만원 정도 됩니다.
2만 달러를 넘겼다고 했던 것이 몇 년 전인 것 같은데,,,
3만 달러도 넘겨버렸네요...ㅋㅋㅋ
경제 대국 대한민국은 1인당 GNI (국민총소득) 전 세계 10위를 차지했네요~~
1인당 벌어들이는 소득이 이탈리아나 대만 등을 제쳤습니다.
대한민국도 빈부의 격차가 심하지만,,
1인당 국민총소득 (GNI)가 높은 나라라는 자부심을 가져도 되겠네요~
이런,,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경제지표에서 10위권 안에 포함되었다는 것 자체가 그만큼 많은 성장을 했고, 전 세계에서 나름의 영향력 있는 나라라는 뜻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 함께 보시면 좋은 글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경제/통계 지표 ] 전 세계 국토 및 우리나라 순위 (feat. 전 세계 인구 순위) (0) | 2022.10.13 |
---|---|
[ 세계 인구 순위 ] 국가 별 인구수 및 점유율 (중국+인도+미국 = 40%) (0) | 2022.10.07 |
[ 경제/통계 지표 ] 전 세계 GDP 및 GNP 순위_우리나라는 몇 위 일까? (0) | 2022.09.30 |
[ 경기 지역 화폐 ] 아는 사람은 다 아는 10% 항시 할인 경기 지역 화폐 (0) | 2022.09.25 |
"누구나" 발급받을 수 없는 "내일 배움 카드" - 신청 자격, 사용처 (0) | 2022.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