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퇴직연금 DB형 vs DC형 차이와 장단점 (feat. 따뜻한 노후 대비)

by 제이(J) 2022. 4. 4.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이입니다~~!!

최근 50세 이후 은퇴 생활에 대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고 있는데요,,
연금 3층을 넘어서 연금 5층 시대에.. 이것저것 알아보고, 공부하던 중..
연금 2층의 퇴직연금인 "퇴직금"에 대해서 소개할까 합니다..


물론, 저는 공격적인 투자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개인 납부하는 퇴직연금 (IRP)는 모두 공격적인 투자를 하려고 하는데요,,
연금 1층 국민연금과 연금 2층 퇴직연금 (퇴직금)에 대해서는 안전하게 묶어두기 위해서 DB형으로 세팅하고,
거들떠도 안 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거듭된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으려고 노력 중이에요~~)

그런데, 몇 년 전 퇴직연금에 대한 DB형이냐 DC형이냐,, 고 수익을 위해서 DC형으로 갈아타라~~!! 는 시절이 있었죠..

DB형과 DC형,, 많이 들어보셨을 것이고,, 익숙하신 분들이 많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아직도 DC형으로 전환하신 분들이 더 적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이유 중에는 저와 같이 퇴직금은 안전 자산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 것이고,
또 다른 이유는 아직 관심 밖이거나, 회사에서 홍보를 안 해줘서 잘 모르는 분들이겠죠~

DB와 DC를 간략하게 요약해 봤습니다.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 (근로자)가 가입할 수 있는 DB형과 DC형이 있고, 개인이 추가로 납입 가능한 IRP가 있습니다.
IRP는 일전에 포스팅한 적이 있어 오늘은 DB형과 DC형의 비교에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

IRP는 연말정산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연금저축 / 개인연금과 함께 꼭 비교를 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함께 보시면 좋은 글]의 "연금 저축 펀드 vs IRP (개인 퇴직 연금) 비교와 전략"을 참고해 주세요~

1. DB형 (Defined Benefit, 확정급여형)

DB형은 회사가 운용해 근로자에게 정해진 금액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퇴직금"이 여기에 해당할 것 같습니다.
회사가 운용을 하기 때문에 근로자는 전혀 손을 쓸 수 없고요,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퇴직금 중간 정산 등의 제도가 있어 중간에 끌어 쓸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사마다 다름)

퇴직연금 DB형의 가장 큰 장점은 회사 존폐와 관계없이 보장이 된다는 점입니다.
회사가 망하더라도 내 퇴직금은 보장이 된다는 것이죠~
하지만, 퇴직연금 DC보다 수익이 적어 향후 동일한 조건에서의 퇴직금이 DC형보다 적게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DC에서 좀 더 자세히 기술하겠습니다..)

DB형을 선택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요,,

급여 인상률이 높은 경우 (DC형의 평균 수익률보다 높을 것을 예상)와
저처럼,, 안전한 퇴직금을 위한 경우입니다.


DB형의 퇴직금 계산 방법은 근속년수 x 최근 3개월 평균 임금입니다.
예를 들어, 30세에 입사하여 50세까지 21년 동안 일을 하고 3개월 평균 월 급여가 1,061.3만원이라면 22,288만원이 됩니다. 계산 방법이 간단하죠??ㅋㅋ

2. DC형 (Defined Contribution,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DC형은 회사가 매년 급여의 1/12을 근로자의 IRP 계좌에 넣어주고, 근로자가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금융에 대한 지식이 높아 급여 인상률보다 수익률을 높일 자신이 있는 경우에 퇴직연금 DC형을 선택합니다.

다소 위험하더라도 (DC형은 원금보장이 안됨) 고수익을 원할 경우에 DC형으로 결정을 하는데요,,


예를 들어, 급여 인상률이 평균 5%라고 가정하고, 평균 수익을 5% 이상 낼 자신이 있다면 퇴직연금 DC형을 선택하는 것이죠~
엄밀히 말하면,, 보통 주식 시장에서 연평균 수익률 8% 정도를 본다고 하는데요,,
퇴직연금 IRP에는 위험자산 70%까지 불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평균 수익 5.6%이 됩니다.
급여 인상이 평균 5.6%를 넘어선다면 퇴직연금 DC형은 리스크가 있을 수 있겠네요~~
이 부분을 감안하고 결정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DC형을 잘만 운용한다면 퇴직 시점에서 보다 풍요로운 퇴직금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앞에서 DB형과 같이 평균 임금 인상률 5% 일 때 DC형으로 매년 퇴직금을 받아 운용을 했다고 가정합시다.
그리고, 운용을 잘해서 연평균 8%의 수익을 냈다고 가정할 때, 21년 후 퇴직 시점의 퇴직금은 29,972만원으로 DB형보다 약 34%가 많습니다.
34%면 어마어마하네요~~!!?!!


퇴직연금 DC형의 퇴직금 계산 방법은 매년 퇴직금을 정산하여 받은 원금과 운용자가 쌓아온 수익률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이에, 퇴직금이 정해져 있지 않죠...

참고로, DC형은 개개인 별로 수익률에 따라서 퇴직금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동일한 조건의 A씨와 B씨가 있는데, A씨는 6%의 수익을, B씨는 8%의 수익을 냈을 때 B씨가 퇴직금을 더 받게 되는 거죠...


충분히 매력이 있죠??

하지만, 명확하게 판단해야 할 것은 "평균 급여 인상률(DB형) vs 평균 월 수익률(DC형)"이라는 점입니다.


매년 지급받은 금액을 어떻게 운용하는가에 따라 퇴직연금 DC형의 수익은 달라지게 되죠~
하지만, 거듭 명심해야 할 것은 DC형은 원금보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퇴직금이 반토막 날 수도 있습니다.

평균 수익률에 대한 차이에 퇴직연금 DB형과 DC형의 퇴직금 차이를 시뮬레이션해봤습니다.
평균 급여 인상률은 5%로 가정했을 때, 수익률이 12%가 되면 퇴직 시점에서는 퇴직금이 두 배가 되네요~
그런데, 그렇게까지 매 해마다 수익을 낼 수 있을지.... 잘 판단해야 할 것 같네요...

이런 매력이 있다고 해도 저는 연금 2층의 퇴직연금 (퇴직금)만은 안전성을 확보한 퇴직연금 DB형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그래야,, 풍요롭지는 않더라도 따뜻한 퇴직 생활이 될 테니까요~

3. IRP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인형 퇴직연금)


소득이 있으면 누구나 가입 가능한 IRP는 회사와 관계없이 개인이 부담하는 방식입니다.
개인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연간 700만원까지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퇴직 후 연금 식으로 돌려받게 되죠..
세액 공제를 최소 13.2~16.5%까지 받을 수 있으니, 매년 최소 13.2% 수익이 보장된 상품이라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제도인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원금 손실 가능하니 투자 시 신중히 선택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본 포스팅은 주관적인 의견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본인의 상황과 계획에 맞춰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시면 좋은 글 ]

[50세 은퇴 준비 1탄] 재무 점검 - 연금 5층, 월 340만원 수령 세팅 완료!!

50세 이후 은퇴 준비를 위해서 제2의 인생을 알아보았고,, 연금저축과 IRP에 대한 study와 배분 전략을 세워봤습니다. 이제 은퇴 준비를 잘 하고 있는지? 부족한 것은 없는지...? 점검하고, 세팅을 해

minddoor83.tistory.com

[은퇴 준비] 인생 2막 준비 프로젝트 master plan

저는 요즘 생각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제 40대에 접어들기도 해서인지.... (노후를 생각하면... 앞길이 막막합니다.. 모아 놓은 돈은 없고, 외벌이고.... 지금부터 모은다고 해도 10년.... 턱없이 부

minddoor83.tistory.com

연금 저축 펀드 vs IRP (개인 퇴직 연금) 비교와 전략

증권사 개인연금 계좌에 가입을 하고, 한도 변경을 했으니 이제 개인연금 저축을 어떻게 나눌지 계획/전략을 세워야겠습니다.. 저는 소소하지만,, IRP만 했었는데요.. 이제는 나눠서 불입을 하려

minddoor83.tistory.com

미국 주식 배당금으로 월세/월급 받기 가능?? 6가지로 요약 완료!!

저는 50세 이후 은퇴 생활을 점검하고 준비하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앞에서 몇 차례 기술한 바와 같이 파이어족은 안될 것 같아요....ㅋㅋㅋㅋ * 파이어족 : 경제적 자립을 통해 빠른 시기

minddoor83.tistory.com

[ 미국 주식 ETF ] 일반 주식보다 ETF가 좋은 이유

미국 시가 총액 상위 Top-10은 시가총액만 $12,217B으로 1경 4,660조원에 해당합니다. 미국 시가 총액 상위 top-4로 축소해서 보더라도 $8,370B (1경원 정도)가 되는데요,, 미국도 빈부 격차가 심하네요~ 미

minddoor83.tistory.com

[미국 나스닥 ETF ] 연금 저축 ETF 이제는 실전이다.

안녕하세요~ 제이입니다..ㅋㅋ 요즘 개인 연금 ETF로 연말정산 세액 공제를 받기 위해서 미국 주식 ETF와 미국 주식을 공부했었는데요,, 직접 투자는 배당 성장주에,, 연말 정산 세액 공제를 받기

minddoor83.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