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1

[취미가 재테크] 한국조폐공사 울릉도 은메달 아주 가끔 한 번씩 한국조폐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판매하는 상품들을 둘러보는데요~ 그러다가 시기를 놓쳐서 구매를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였습니다... 그중에 가장 아쉬운 것이 이거였죠... 19년에 출시된 조선의 어보 시리즈.. 금도금 은메달의 경우 30만원 후반에 판매를 했었는데,, 입체 메달의 모양이 너무 멋있습니다. 섬세하고, 사이즈는 작은데, 웅장하기까지....ㄷㄷ 소장 가치가 있겠죠....? 제가 올린 사진은 3차 명성황후의 어보인데요, 그냥 은메달이 30만원 약간 못 미치는 금액에 판매가 되었는데.. 작년 경매 사이트에 낙찰된 금액이 40~46만원 정도 했네요... 평균으로 봐도 약 1.5배 정도 오른 금액입니다... 지금은 그보다도 1년이 더 지났으니.. 더 올랐겠죠....? 가지고 계신 분들.. 2022. 3. 21.
[미국 배당 성장 ETF] 5년 이상 배당, AAPL/MSFT가 포진 된 ETF (DGRO)로 연금 준비 미국 배당주를 공부하면서, 장기 투자를 위한 투자는 고배당보다는 배당 성장주에 주목하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그리고, 미국 주식의 배당주는 수백 가지라서,, 종목들을 모아둔 ETF를 공부하고 있는데요,, 배당 계급도에 맞춰서 배당 킹 (Dividend King)과 배당 귀족 (Dividend Aristocrats)을 모아둔 미국 주식 ETF 외에도 제가 주목하는 미국 주식 ETF가 있는데요,, 바로, 보유 종목 Top-5에 애플 (AAPL)과 마이크로소프트 (MSFT)가 포함된 ETF입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에는 모든 분들이 몇 개의 종목에 투자할 것이라 생각이 되는데요,, 저는 향후 미국 주식으로 월세 (용돈) 받기 프로젝트를 하면서,, 약 20여 종목에 투자할 계획인데요,, 그중 5개 정도는 ET.. 2022. 3. 21.
[미국 배당 성장 ETF ] 20년 이상 배당 증가 ETF로 든든한 연금 준비 미국 주식 배당 월세 받기 프로젝트.. 너무나도 꿈같은 일인데, 월급 (200만원 이상)은 아니라도,, 월세 (30~50만원) 정도는 꿈꿀 수 있지 않을까요? 지난 포스팅에서도 살펴봤듯이,, 적은 금액으로 오랜 기간 준비하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50세 이후 은퇴에 대한 계획을 세우다가 얼마 전 시작한 미국 주식 배당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져 있는 상태인데요,, 시간이 답이긴 하지만,, 경기에 따라 제가 투자한 기업의 실적이 낮아져 배당을 없애거나 줄여버리면 안 되니까,,, 최대한 오랜 기간 배당을 증액 (배당 증가) 하여 신뢰가 쌓인 배당 성장주 기업에 투자를 하는 것이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배당 계급도를 언급하며,, 미국 주식 사이클 4년, 심각한 경제 위기 10년 주기를 몇 차.. 2022. 3. 20.
[ 미국 주식 ETF ] 일반 주식보다 ETF가 좋은 이유 미국 시가 총액 상위 Top-10은 시가총액만 $12,217B으로 1경 4,660조원에 해당합니다. 미국 시가 총액 상위 top-4로 축소해서 보더라도 $8,370B (1경원 정도)가 되는데요,, 미국도 빈부 격차가 심하네요~ 미국 시총 상위 4위가 10위 중에 70%를 차지한다니.... 다른 포스팅에서도 다뤘지만,, 미국 시총 상위 10위 (Top-10)은 전 세계 시가 총액으로 하더라도 10위 권에 9개 기업이 속해 있으니,, 장기적으로 봤을 때에도 미국 시가총액 상위 기업에 투자를 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생각을 전 세계 주식하는 사람들이 모두 같은 생각을 하겠죠...?? 그렇기 때문에 주가가 어마어마합니다.. 앞으로 계속해서 주가는 오를 테고요.... 미국 시가 총액 상위 to.. 2022. 3. 20.
[미국 주식 공부] 주식 종목 선택 시 도움 되는 사이트 모음 이번에 50세 이후 은퇴 준비를 시작하고, 미국 주식 배당으로 월세 받기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미국 주식과 ETF에 대한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생각보다 정말 많은 정보가 있는 사이트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제가 아직 초보라서.. 개별 개별 종목은 더 공부를 해야할 것 같은데요... (아직은 종목 이름만 들으면 뭐하는 기업인지 잘 모를 정도라서...) 저의 컨셉은 그래도 정해졌습니다. 기준은... 적립식으로 소액이라도 꾸준히 쌓아 나가는 것입니다. 배당금을 받으면 그 배당으로 재투자를 함으로 인해 복리효과를 가져갈 것이고요... 투자 기준은 배당률 2~4% 수준으로 배당 성장주에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배당 성향은 30~60% 내외로 선정하고, 배당 증가는 10년 이상 배당 챔피언에 종목 점.. 2022. 3. 19.
[준비] 동력수상 레저기구 조종면허 1급 - 레저 강사, 모터 보트 조종 저는 2009년에 동력 수상 레저 기구 조종면허를 취득했습니다. 처음에는 2급을 따고, 레저 강사로 종사할 수 있다는 말에 일반 조종 1급도 바로 응시했던 것 같아요... (더 잊어버리면 감 떨어질까봐~) 이 조종면허는 모터로 가는 (동력, 무동력 요트는 안됨) 동력 5마력 이상, 5톤 이하의 레저기구를 조종할 수 있습니다. 간략히,, 바다의 면허증이죠.. 사실, 동력수상 레저기구 조종면허를 취득하고 나서 사용할 기회가 없긴 했습니다만,,, 아래와 같이 모터 사이클을 혼자서 운전할 수 있습니다. 동력수상 레저기구 조종면허를 따고 7년이 지나서 갱신을 한 번 했습니다. 또 내년이면 갱신 기간이네요~ 벌써 14년이 다 되어가는데, 배를 탈 기회가 없군요......ㅜ.ㅜ 사실, 기회야 만들면 되지만,,, 아시.. 2022. 3. 18.
미국 주식 배당금으로 월세/월급 받기 가능?? 6가지로 요약 완료!! 저는 50세 이후 은퇴 생활을 점검하고 준비하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앞에서 몇 차례 기술한 바와 같이 파이어족은 안될 것 같아요....ㅋㅋㅋㅋ * 파이어족 : 경제적 자립을 통해 빠른 시기에 은퇴하겠다는 신념으로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 정도에 은퇴하는 것을 뜻함. 이들은 조기 퇴근을 위해 수입의 70~80%를 저축함. FIRE :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영어) 최소 10억 달러 (12억원)을 주식이나 부동산에 넣고 매년 3%의 금융 소득이 생긴다면,, 원금으로 월 300만원 정도를 받게 된다는 것이죠. (파이어 족의 최소한의 금액이라고 합니다...) 그래도 최소한의 경제적 여유를 찾기 위해서 저도 미국 주식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개인연금이나 연금저.. 2022. 3. 18.
[취미가 재테크] 평창 올림픽 2,000원권 - 한국의 2달러, 현재 시세는? 얼마 전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베이징 올림픽을 마치고... 페럴림픽까지 끝났습니다. 정말........... (할말하않........) 그래도 우리나라 선수들 정말 잘해주었는데요,,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쇼트트랙과 스피드 스케이팅에만 너무 주목되는 것이 아닌가 싶어요~ 피겨 스케이팅도 이번에는 약간 올라오긴 했습니다. (컬링 / 스노보드 화이팅!!!!) 올림픽이 진행되면서 직전 올림픽이었던 평창올림픽이 많이 거론되더군요~ 저는 이상화 선수의 팬이었습니다.. (박승희 선수도....) 올해는 이상화와 일본 스케이트 선수의 케미, 쇼트트랙의 김아랑, 곽윤기의 케미,, 그리고, 찐 팬이 된 황대헌, 최민정의 케미까지... 선수들 보는 재미도 있었네요... 지난 평창 올림픽 직전,, "한국의 2달러"라는.. 2022. 3. 17.
[취미가 재테크] 가장 오랜 역사, 잉글랜드 FA컵 150주년 기념 동화 현대 축구의 최대 이벤트인 월드컵에서는 프랑스, 아르헨티나, 브라질, 독일, 이탈리아, 초대 월드컵 포함 과거 우루과이가 돌아가면서 2회 이상 우승을 차지했는데요,, 축구의 종주국은 잉글랜드죠~ 영국 프리미어리그는 스페인 라리가와 함께 명문 축구 리그입니다. 축구를 좋아하는 분들은 새벽에 잠을 자지 않고도 축구를 보곤 하죠~ 하지만, 지구상에서 현존하는 역사상 가장 오래된 축구 대회는 영국 FA컵 대회입니다. 잉글랜드 풋볼 리그 및 풋볼 클럽이 생기기 이전부터 존재했다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어지간한 전통을 자랑하는 구단이나 대회보다 훨~씬 더 오래되었다는 거죠... 최근 화폐/주화 수집에 취미를 갖고 있는 저는,, 영국 2022년 FA컵 150주년 기념 주화를 구매했습니다. 축구를 좋아하긴 하나, 그정.. 2022. 3. 17.
반응형